AI입문 & 개념정리

AI를 위한 파이썬 기초 #1 – 변수와 자료형 쉽게 이해하기 🐍

강의는_사람맛 2025. 4. 15. 19:00

‘변수? 자료형? 어려운 줄 알았죠? 딱 10분만 보면 감 잡힙니다!’

파이썬은 쉬워요!

 

“파이썬을 배우는 이유요? 당연히 AI 하려고요!”
요즘 이런 분들 진짜 많아졌어요.
그런데 딱 시작하자마자 튀어나오는 단어… 변수, 자료형, 정수, 문자열, 리스트…
아니 도대체 이게 왜 이렇게 많고 어려워 보이는 거죠? 😵‍💫

근데 진짜 신기한 게요.
이 개념만 ‘제대로, 쉽게’ 이해하면 나중에 AI 모델 돌릴 때 코드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오늘은 그래서! 파이썬 기초 중에서도 진짜 찐 기초!
변수(variable)자료형(data type)에 대해서
진짜 비유 가득 + 실습 예제 가볍게 넣어서
“어? 나 이제 코드 좀 이해되는데요?” 하는 포인트까지 안내해 드릴게요~

이 시리즈 하나씩 따라가면,
AI 공부 준비 끝! 파이썬 두려움도 싹 날아가실 거예요.
그럼 우리 같이 한 줄씩 코딩 시작해 볼까요? 🤓

 

우선! Visual Studio Code에서 왼쪽의 탐색기(문서 두개 붙어있는 첫번째 아이콘) 을 클릭하면,
폴더 열기란 파란색 버튼이 있습니다.
여기서 개발을 시작할 컴퓨터 폴더를 선택하세요.
그런 다음, 새 폴더를 만드세요. 저는 blog-python 이라고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폴더 안에 새로운 문서 basic01.py를 만드세요. 아래 그림 처럼요. 

VS Code에서 시작합니다


시작!

 


변수란? 쉽게 말해서 이름표 같은 거예요

파이썬에서 ‘변수’는 그냥 무언가를 저장해 두는 상자예요.
그 상자에 이름을 붙이면 그게 변수고요!
예를 들어 apple = 3 이라고 쓰면,
‘apple’이라는 이름표를 단 상자에 ‘3’이라는 값을 넣는 거죠 🍎

이제 print(apple) 하면? → 3 출력됩니다!
이게 바로 변수의 시작이에요. 어렵지 않죠?


자료형이란? 상자 안에 뭐가 들었는지 구분하는 거예요!

자, 상자 안에 숫자가 들어있으면 “정수형”,
글자가 들어있으면 “문자열”, 소수점 숫자면 “실수형”이라고 해요.
파이썬은 똑똑해서, 값을 넣으면 자동으로 그 자료형(type)을 알아서 정해줘요!

예시로 볼까요?

age = 28            # 정수형 (int)
name = "Jennifer"   # 문자열 (str)
height = 165.5      # 실수형 (float)

그리고 type() 함수로 확인도 가능해요!

print(type(age))   # <class 'int'>
print(type(name))  # <class 'str'>

Ctrl + F5 : 메뉴 > 실행 > 디버깅 없이 실행을 눌러보세요!


 

문자열(str)은 “따옴표”가 생명입니다!

파이썬에서 글자를 다룰 때는 항상 따옴표(작은/큰 따옴표)를 써줘야 해요.
예를 들어 city = Seoul 이라고 쓰면 에러 나고요,
city = "Seoul" 이라고 써야 인식됩니다!

문자열은 ‘글자 덩어리’라고 생각하면 돼요.
심지어 숫자도 따옴표 붙이면 문자열로 인식돼요:

number = "1234"  # 이건 숫자처럼 보여도 str임!

숫자형(int, float)은 따옴표 없이 쓰세요!

숫자를 진짜 숫자로 쓰고 싶을 땐 따옴표 ❌
그냥 123, 3.14 이런 식으로 써야 수학 계산도 되고, 크기 비교도 가능해요!

a = 10
b = 3.5
print(a + b)  # 13.5

실제로 AI 모델 돌릴 때는 숫자 자료형으로 된 데이터를 엄청 많이 다루게 돼요.
그래서 숫자형을 자연스럽게 익혀두면 후에 진짜 도움 돼요!


리스트(list)는 여러 값을 한 번에 담는 변수!

“한 상자에 과자 여러 개 넣고 싶다!” 그럴 땐 리스트!
[] 대괄호로 감싸고, 값들을 쉼표로 구분해 줍니다:

fruits = ["apple", "banana", "cherry"]
print(fruits[0])  # apple

리스트는 진짜 많이 써요.
AI 데이터셋도 리스트 형태로 구성돼 있는 경우가 많거든요!


오늘 배운 내용, 이렇게 정리해 볼까요?

변수 이름 자료형
name          "Jennifer"   문자열 (str)
age               28   정수형 (int)
height             165.5  실수형 (float)
fruits ["apple", "banana"]   리스트 (list)

이제 변수랑 자료형은 뭐다?
정보를 담는 상자 + 상자 안의 내용물 구분하는 방법!

이것만 익혀도 앞으로 나올 조건문, 함수, 데이터 처리까지 쑥쑥 따라오실 수 있어요 😉
다음 글에서는 조건문(if)으로 넘어가 볼까요?


헷갈리는 부분? 🙋‍♀️

숫자처럼 보이는데 따옴표 붙이면 왜 문자열이에요?
👉 "123"처럼 따옴표가 붙으면 파이썬은 글자로 인식해요.
숫자처럼 보여도 계산 안 되고, 문자 취급해요!
그래서 "123" + "456" 하면 → "123456" 이렇게 붙여지기만 함!

변수 이름은 아무거나 써도 되나요?
👉 웬만한 건 다 되지만, 숫자로 시작하거나 공백은 안 돼요!
예: 2cool = 5 ❌ / cool_2 = 5

자료형은 내가 정해줘야 하나요?
👉 파이썬은 똑똑해서 자동으로 알아서 해줘요!
근데 가끔 헷갈릴 땐 type()으로 확인하는 습관 들이면 좋습니다~


코드 몰라도 AI 한다는 건 거짓말이죠? 😅

코딩 초보자들한테 파이썬은 약간... 낯선 외계어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변수랑 자료형만 이해해도 나중에 AI 모델 다룰 때 쫄지 않게 돼요.
데이터를 어떻게 담고 처리하느냐가 AI의 핵심이거든요!
지금처럼 하나씩 배우다 보면, 어느 순간 GPT 프롬프트도, 모델도 이해되기 시작합니다 ✨